20100617

관악산 초록숲길 안내

관악산 초록숲길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열립니다.
확인해 보세요.

소나무, 송, 솔나무, 소낭, 소낭구

곧, 새로운 내용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소나무, 송, 솔나무, 소낭, 소낭구
나무중에 품계가 가장 높다하여 우두머리를 뜻하는 ‘수리’로 불리다가 ‘술’이 되고 이것이 다시 ‘솔’이 되었습니다.
그 이후
‘솔’과 ‘나무’가 합쳐져 ‘솔나무’가 되었다가 ‘소나무’가 되었습니다.
학명은

Pinus densiflora입니다.
Pinus는 켈트어 Pin(산)에서 유래되었고, Densiflora라는 단어는 촘촘히 핀 꽃(densus floris)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나무를 부르는 이름

껍질이 붉고, 가지 끝에 분은 눈이 붉다 하여 적송(赤松)

바닷가 보다 내륙에 많이 분포한다하여 육송(陸松)

곰솔 보다 잎이 부드럽다 하여 여송(女松)

두 잎이 다발로 이루어 졌다 하여 이엽송(二葉松), 음양수(陰陽樹)

강원도와 경북 북부 지역에 분포하고 곧고 길게 자라는 금강송

뿌리 부분부터 가지가 갈라져 우산처럼 퍼지는 반송

황금색의 잎을 달고 있어서 황금소나무

버드나무 같이 아래로 쳐져서 쳐진소나무

지표면부터 줄기가 대등하게 자란다 하여 쌍둥이솔

솔봉의 소나무숲은 어떻게 변할까요?

곧, 새로운 내용이 추가될 것입니다. 

솔봉의 소나무숲은 어떻게 변할까요?
소나무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약 2,000년 전부터 활발한 농경생활과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소나무 숲이 우세하게 되었습니다.
솔봉의 소나무 숲은 어떤 모습으로 변해갈까요?
관악산의 여러 숲을 탐방해 보시면 그 답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흙이 척박하고, 빛이 많이 들며, 돌들이 많은 지역에서는 소나무가 우세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흙의 질이 좋은 곳에서는 소나무 보다 생장이 우수한 참나무류(신갈, 갈참, 굴참 등)로 변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솔봉에서 어린 소나무를 볼 수 있나요?
아니면 어린 참나무를 찾을 수 있나요?
숲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어린 나무들을 보면 숲의 미래를 어느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천이란?
어떤 생육지에서 자라는 식물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변천하는 것을 말합니다.
천이에서 식물은 주도적 역할을 하여 환경을 변화시키지만 동물도 크게 영향을 끼칩니다. 천이계열에서 마지막으로 형성된 극상은 환경과 생물군집 사이에 평형이 이뤄집니다.
극상이란?
어떤 지역의 식물군집이 변하는 생물학적 천이의 최종단계를 말합니다.
극상 군집에서 자라고 있는 모든 종들이 성공적으로 번식하고 있어서 이 군집에 침입하는 다른 종들이 뿌리를 내릴 수 없기 때문에 원 상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오랜 기간에 걸친 기후 변화, 생태학적 과정, 진화과정 등으로 인해 환경이 바뀌기 때문에 극상 단계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숲 속의 떠들이새 직박구리

곧, 새로운 내용이 추가됩니다. 



숲 속 떠들이 새,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기후와 환경이 변화하면서 생태계도 변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두드러진 것 중의 하나가 대표적인 텃새 참새와 직박구리의 개체수가 달라져가는 모습입니다.
예전에는 가장 흔하게 눈에 띄는 새가 참새였는데 그 자리를 직박구리가 대체해 나가고 있습니다.
직박구리는 몸길이 27cm 정도로 참새보다는 훨씬 크고 까치보다는 조금 작습니다.
몸 전체가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이지만 머리는 약간의 파란빛이 도는 회색이고 귀 근처의 밤색 얼룩무늬가 예쁜 새입니다.
직박구리라는 새 이름은 시끄럽게 우는 새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옛날 시골에선 역시 시끄럽게 떠들어 댄다고 '떠들이 새'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습니다.
그래서 추운 겨울철에도 삐! 삐! 삐! 삐! 지저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서식환경이 참새에게는 나빠졌지만, 상대적으로 직박구리에겐 오히려 좋아졌습니다. 특히 도시지역에 많이 심는 작은 과일나무가 직박구리에겐 아주 좋은 먹이가 됩니다.